안동 월영교와 수자원 박물관 월영교 가운데 있는 월영정 가운데 크게 동그란 부분이 월영정이다. 지도 좌상단의 건물은 물 박물관 월영교 전경. 산속의 건물은 민속촌 건물 이며 오른쪽 빈터는 석빙고라고 한다. 석빙고는 마치 무덤처럼 보인다. 월영교에서 찍은 안동댐 본댐 멀리서 찍은 사진 수자원 공사에서 운영하는 듯. 강과 .. 신변잡기(身邊雜記)/大 韓 民 國 2009.02.24
안동댐 본댐 기념탑 안동댐에 올라가서 찍은 사진이다. 기념탑 꼭대기에 까치집이...... 촬영지점의 다음 스카이뷰 이미지 무슨 여신상 인듯 하다. 근데 손가락 부위가 부러진듯 더보기 왠지 북한을 연상하는 노동자의 동상 뭘 끌고 있는것인지 알 수 없다. 쟁기를 끄는 농부의 동상 이것은 취수탑? 물이 많이 줄어 있다. 신변잡기(身邊雜記)/大 韓 民 國 2009.02.24
길가다 찍은 강원도 태백 매봉 풍력 발전소 어쩌다가 직접 가보지는 못하고 이렇게 사진만 찍어봤음. ㅎ 촬영지점 매봉 풍력 발전소는 촬영지점에서 약 2.35km 떨어져 있다. 확대지점 : 35번 국도로 표시된 부분 위에 둥근 점이 탑이다. 줌인 촬영 35번 국도 옆에 있는 돌탑 스카이뷰로 보면 보인다. 신변잡기(身邊雜記)/大 韓 民 國 2009.02.24
고운사 호랑이 벽화 모음 내가 본건 3종류였다. 첫번째 두 장은 식당에 있는 것으로 훼손을 염려해 벽을 잘라내고 액자처럼 만들었다. 조선 중기의 그림이라고 옆에 설명이 나와있다. 두번째 여섯 장은 원래의 그림을 대신하여 그려진 그림이다. 세번째 그림은 어쩌다가 찍은 그림이다... 어디에 붙어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ㅎ.. 신변잡기(身邊雜記)/大 韓 民 國 2009.02.19
고운사 목어(木魚), 운판(雲板) 사진 고운사에 있는 나무 물고기 이다. 불교에서 사용되는 악기이며 북, 종, 운패와 함께 사용된다. 목어는 중국에서 건너왔다고 한다. 어쨌건 지금 보니 샤치호코가 목어와 많이 비슷한거 같다. 일본말로는 魚+虎로 된 글씨로... 호랑이 머리라고 하는데 아무리봐도 호랑이 머리는 아니고.... 용 머리다. 일.. 신변잡기(身邊雜記)/大 韓 民 國 2009.02.19
자음 명칭과 자음 모음 순서 ㄱ - 기역 ㄴ - 니은 ㄷ - 디귿 ㄹ - 리을 ㅁ - 미음 ㅂ - 비읍 ㅅ - 시옷 ㅇ - 이응 ㅈ - 지읒 ㅊ - 치읓 ㅋ - 키읔 ㅌ - 티읕 ㅍ - 피읖 ㅎ - 히읗 자음순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순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ㅏ ㅐ ㅑ ㅒ .. 신변잡기(身邊雜記)/大 韓 民 國 2009.02.18
강원도 태백의 구문소 1 2009년 2월 사진이다. 비록 입춘은 지났지만 겨울이고, 올해 꽤나 가물어서 소에 물이 적었을지도 모르겠다. 다음 스카이뷰에 사진을 등록하고 블로그에도 넣었는데... 이상하게 블로그에서는 작은 사진이 잡히질 않는다. 흐.... 블로그에서는 삭제하고 다시 올린다.. 신변잡기(身邊雜記)/大 韓 民 國 2009.02.17